+ 도움 받은 책은 2010년도에 발행된 「프로야구 기록법 & 기록규칙 가이드」 입니다
07-1. 야수선택
- 야수선택에 의한 출루는 F.C로 표기합니다 (Fielder's choice)
(2번타자 볼넷으로 1루 출루
3번타자 유격수 앞 땅볼 타구 때 유격수의 야수선택으로 1루에 출루, 1루주자 3번타자의 타구에 의한 도움으로 2루 진루)
07-2. 희생타, 희생플라이
-희생플라이로 아웃되는 경우는 □을 이용하여 적습니다.
(중견수 희생플라이, 중희비)
-희생타(=희생번트)의 경우, 앞서 번트와 마찬가지로 □의 아래 부분에 ~을 적습니다.
(포수 앞 희생번트 - 1루에서 2루수 포스아웃, 포희번)
07-3. 타구에 닿아 아웃되는 경우
-타자가 타구에 닿아 아웃되었을 때에는 x를 이용하여 기록합니다.
(타자주자가 1루로 향하다가 포수 부근에서 자기 타구에 닿아 아웃)
-주자가 타구에 닿아 아웃되었을 때에는 X를 이용하여 기록합니다.
(2번타자의 초구 때 2루로 향하던 1루주자가 2루수 쪽으로 향하는 타구에 맞음)
07-4. 방해
- 타격방해에 의한 출루는 #으로 표기합니다.
- 타격을 방해한 야수에게 실책을 기록합니다.
- 타격 방해의 도움으로 선행주자들이 진루하게 될 때에는 (E2)를 기록해주며, 득점을 할 경우 타점으로 인정 되기 때문에 ○안에 타자 번호를 한자로 써넣어야 합니다.
(포수의 타격방해에 의해 타자가 1루로 출루)
(1번타자 볼넷으로 출루, 2번타자 타격방해로 출루하고 1루주자 밀려나서 2루로 진루)
- 주루방해에 의한 출루는 Ob로 표기합니다.
- 주루를 방해한 야수에게 실책을 기록합니다.
(2루수의 주루방해로 타자주자가 1루에 출루)
07-5. 태그아웃
-태그 아웃이 되는 경우 태그를 한 수비수의 번호 오른편에 T를 적습니다.
07-6.베이스 터치 아웃
-야수가 직접 루에 터치하여 아웃시켰을 경우에는 A,B,C,D 혹은 H를 이용하여 표기합니다.
- A = 1루, B= 2루, C = 3루, D 혹은 H = 홈
(1루수 앞 땅볼을 1루수가 잡아 1루에 베이스 터치하여 아웃)
07-7. 병살 표기
- 위 아래에 붙어있는 경우 {를, 떨어져 있는 경우 ((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ex)
앞의 타자가 중견수 앞 안타를 치고 출루.
다음 타자가 3루수 땅볼을 치고, 3루수는 2루수에게 송구, 2루수는 2루 베이스 터치아웃 하여 1루주자 아웃 시킨 후 (2아웃), 1루로 송구하여 타자주자 아웃(3 아웃)
(첫번째 기록란의 b가 3-4B로 기록되어 있다고 생각해 주시길 바랍니다.)
첫번째 주자가 볼넷으로 출루
두번째 주자가 우익수 플라이로 아웃 (1 아웃)
세번째 주자의 1루수 앞 땅볼을 1루수가 잡아 2루수에게 송구, 2루수는 2루 베이스 터치하여 1루주자 아웃시킨 후 (2아웃), 다시 1루에 던져 타자주자 아웃 (3 아웃)
'야구 >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록지 작성] 09. 기록란 작성 7 - 체크, 견제구, 이닝종료 (0) | 2014.09.02 |
---|---|
[기록지 작성] 08. 기록란 작성 6 - 진루 (0) | 2014.09.02 |
[기록지 작성] 06. 기록란 작성 4 -플라이&직선타, 실책 (0) | 2014.09.01 |
[기록지 작성] 05. 기록란 작성 3 - 안타, 삼진, 사사구 (0) | 2014.09.01 |
[기록지 작성] 04. 기록란 작성 2 - 타구 종류&방향, 송구 (0) | 2014.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