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움 받은 책은 2010년도에 발행된 「프로야구 기록법 & 기록규칙 가이드」 입니다
11-1.타석(타자)와 타수
타자에 대해 말할 때는 n타석 m타수를 들어섰다고 하며, 투수에 대해 말할 때는 n타자 m타수를 상대했다고 합니다.
타석 혹은 타자는 타자가 타자박스에 들어선 모든 횟수를 말하며,
타수는 타석(타자)에서 4사구, 희생타, 타격방해, 주루방해를 뺀 횟수를 말합니다.
* 타수 = 타석 - (4구 + 고의사구 + 사구 + 희생번트 + 희생플라이 + 타격방해 + 주루방해)
11-2.폭투(W), 포일(P)
얼핏 보기엔 모두 포수 뒤로 공이 빠지는 것으로 같아보일 수 있으나, 공이 뒤로 빠지게 된 원인이 투수인가 포수인가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폭투는 투수가 지나치게 높거나 낮거나 옆으로 빠지는 공을 던져, 포수가 보통의 수비로는 처리하지 못해 주자를 진루시켰을 경우에 투수에게 기록되는 것이며,
포일은 포수가 보통의 수비로 받을 수 있는 투구를 처리하지 못해 주자를 진루시켰을 경우에 포수에게 기록되는 것입니다.
11-3.병살 병살타
병살은 투수가 투구한 이후 볼데드가 되거나 투수의 손에 되돌아와 다음 투구 자세에 들어갈 때까지의 사이에 실책없이 2명의 선수를 아웃시켰을 경우를 말합니다. 이 때 수비에 관여한 수비수에게는 각각 보살과 자살이 부여됩니다.
병살타는 병살의 원인이 되는 타격을 한 타자게 주어지는 판정입니다.
ex)
- 유격수 라인 드라이브 아웃 후 3루로 달려가던 2루주자 태그
: 병살은 맞지만, 땅볼이 아니므로 병살타의 성립이 되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직선타가 아닌 플라이의 경우도 병살타가 성립되지 않습니다. 주자의 아웃은 주자의 주루사로 기록되어, 타격으로 인한 아웃이 아닌 주자의 주루 실책으로 판정되기 때문입니다.
- 6-4-3 병살
: 병살과 병살타가 모두 기록이 됩니다. 1루에 주자가 있을 때 타격으로 땅볼 타구가 나오는 경우 1루주자는 무조건 2루로 진루를 해야하기 때문에, 2루에서 아웃을 당하면 타격으로 인한 아웃으로 판정이 되기 때문입니다.
11-4. 자살(=刺殺, Put Out)과 보살(=補殺, Assist out)
수비집계란을 보면 자살과 보살의 횟수를 세는 칸이 있습니다.
야구 수비에서의 자살은 직접 주자를 아웃시킨 수비수에게 주어지며, 보살은 그 주자를 아웃시킬 수 있도록 도와준(송구를 하거나 디플렉트 시키는 경우) 수비수에게 주어집니다.
11-5.실점, 자책점
실점은 투수가 내어준 점수를 말합니다. 투수가 등판한 동안 루 상으로 내보낸 주자가 득점한 모두 점수는 고스란히 그 투수의 실점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예를들어, A투수가 1루에 주자를 내보낸 후 강판이 되고, B투수가 올라와 그 다음 타자에게 홈런을 맞을 경우 A와 B는 각각 1실점을 한 것이 됩니다.
자책점은 투수가 만든 실점 중 투수의 책임이 되는 실점을 말하며, 실책과 포일을 제외하고 그 이닝을 재구성했을 경우 얻게 되는 투수의 실점이 자책점이 됩니다.
구원투수의 자책점을 계산하기 위해 이닝을 재구성할 경우, 구원투수의 아웃기회의 수는 3-(전임투수가 만든 아웃의 수)입니다.
예를 들어, 전임투수가 1아웃을 잡고 내려간 경우, 구원투수는 2개의 아웃만 잡으면 이닝이 종료되므로, 이닝을 재구성하면서 아웃이 2개가 성립이 된다면 그 이후로 내어준 실점은 모두 비자책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
미숙한 설명이 많은 부분입니다. 혹시나 틀린 내용이 있다던가, 이해가 가지 않는 다는 부분이 있으시다면 편히 댓글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야구 >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록지 작성] 10. 기록란 작성 8 - 선수교대 (0) | 2014.09.02 |
---|---|
[기록지 작성] 09. 기록란 작성 7 - 체크, 견제구, 이닝종료 (0) | 2014.09.02 |
[기록지 작성] 08. 기록란 작성 6 - 진루 (0) | 2014.09.02 |
[기록지 작성] 07. 기록란 작성 5 - 그 외 기타(타격 관련) (0) | 2014.09.01 |
[기록지 작성] 06. 기록란 작성 4 -플라이&직선타, 실책 (0) | 2014.09.01 |